2025년 하반기,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산재보험료율 개정안이 2026년 1월부터 본격 적용됩니다.
이 변경은 모든 사업장의 보험료 부담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특히 건설·운수·서비스업 등 일부 업종은 요율이 인상되거나 조정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 어떤 직종의 요율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 사업주가 준비해야 할 대응 방법은 무엇인지
를 **최신 고시 자료(2025.10 기준)**를 기반으로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① 산재보험료율이란?
산재보험료율은 사업장에서 근로자가 산업재해를 당했을 때 지급되는 보험금의 재원을 위해 부과되는 비율입니다.
매년 고용노동부는 업종별 재해율·보상금 지급 현황 등을 분석해 요율을 조정합니다.
즉,
“사업의 위험도가 높을수록 요율이 높고, 상대적으로 안전한 업종은 요율이 낮습니다.”
② 2025년 산재보험료율 개정의 핵심 변화
2025년 고용노동부 고시(제2025-126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전체 평균 요율
- 2024년 대비 0.02%p 인하 (평균 1.46% → 1.44%)
- 다만 업종별 편차가 존재합니다.
▪ 인상된 주요 업종
| 업종 | 2024 | 2025 | 증감 | 비고 |
| 건설업 | 2.91% | 2.95% | ▲0.04 | 재해율 증가 |
| 육상 운송업 | 1.78% | 1.84% | ▲0.06 | 사고 빈도 증가 |
| 음식·숙박업 | 1.20% | 1.25% | ▲0.05 | 서비스직 중심 |
▪ 인하된 주요 업종
| 업종 | 2024 | 2025 | 증감 | 비고 |
| 정보통신업 | 0.59% | 0.54% | ▼0.05 | 비대면 업무 확대 |
| 금융·보험업 | 0.47% | 0.43% | ▼0.04 | 실내 근무 중심 |
|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 | 0.61% | 0.58% | ▼0.03 | 위험도 낮음 |
③ 노무제공자(특수형태근로종사자) 요율 변화
이번 개정안에서는 택배기사, 학습지 교사, 보험설계사 등 특수고용직군(노무제공자) 의 산재보험료율도 조정되었습니다.
| 직종 | 2024 | 2025 | 비고 |
| 택배기사 | 2.73% | 2.79% | 상차·하차 재해 증가 |
| 학습지 교사 | 0.89% | 0.83% | 비대면 전환 영향 |
| 골프장 캐디 | 2.05% | 2.18% | 고객 접촉 증가 |
🔹 참고: 개정안은 고용노동부 “산재보험료율 및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고시(2025-126호)”에 명시됨.
🔹 출처: 고용노동부 공식자료
④ 사업주가 알아야 할 대응 포인트
- 보험요율 적용시점
→ 2026년 1월 1일부터 적용 (2025년 말 신고분은 기존 요율로 산정). - 보험료율 확인 방법
→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 ▶ “산재보험료율표” 메뉴에서 업종코드 입력. - 요율 변경 알림
→ 공단에서 발송되는 “요율 변경 안내문” 또는 전자고지 확인 필수. - 예상 보험료 시뮬레이션
→ 월 평균 보수 × 근로자 수 × 변경요율 = 예상 부담금.
⑤ 실제 예시로 보는 보험료 변동
예를 들어,
직원 10명, 월평균 보수 300만원인 IT기업(요율 0.54%)은
→ 연간 산재보험료 약 194만 원(기존 대비 약 18만 원 절감)
반면,
동일 조건의 건설업체(요율 2.95%)는
→ 연간 약 1,062만 원(기존 대비 약 14만 원 증가) 부담이 예상됩니다.
⑥ FAQ (자주 묻는 질문)
Q1. 근로자 수가 적어도 요율이 바뀌나요?
A. 네. 요율은 업종 코드 기준으로 적용되므로, 직원 수와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Q2. 보험료율 인하된 업종은 자동 반영되나요?
A. 네, 별도 신청 없이 자동 적용됩니다. 다만 사업자등록 업종 코드가 실제 영위 업종과 다르면 수정이 필요합니다.
Q3. 요율 변경에 이의신청이 가능한가요?
A. 불복 절차는 없으며, 단 업종 분류가 잘못된 경우 근로복지공단에 정정 요청할 수 있습니다.
2025년 산재보험료율 개정은 “위험도 중심 차등화”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업종별 현실을 반영한 점이 특징입니다.
특히 건설·운수업 등 위험도가 높은 업종은 인상, 사무직 중심 업종은 인하되었습니다.
사업주는 반드시
- 업종 코드 확인,
- 내년도 요율 대비 보험료 예산 재산정,
- 공단 전자고지 수신 여부 확인
을 통해 2026년 보험료 신고를 준비해야 합니다.
✅ 최신 정보는 근로복지공단 공식 홈페이지와
고용노동부 고시 제2025-126호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